티스토리 뷰

작업 사이트가  Wowza Streaming Engine 서버에 영상을 업로드하고 jplayer.js를 사용하여 플래쉬로 영상을 재생하고 있다.

 

이전에 새로운 영상을 추가하면서 살펴봤더니 플래쉬로 돌아가고 있길래 video태그나 iframe으로 교체하자는 제안을 했었지만,

다른 우선순위 업무들이 있어서 추후 논의하기로 했었다.

 

모두 iframe으로 작업하는 것이 운영 상으로 제일 좋겠지만,

유튜브에 올리지 않을 영상이 존재할 수도 있다고 해서 와우자 서버에 업로드 되어있는 영상을 video태그로 홈페이지에 삽입할 수 있냐는 문의가 있었다.

 

경험해 본 작업이 아니기 때문에 이렇게 저렇게 인터넷을 엄청 뒤졌다.

각종 커뮤니티에 비슷한 내용이 많이 있어서 테스트 해봤으나 되지 않았다.

 

결국 뒤지다가 공식 사이트에서 안된다는 내용을 확인했다.

특정 브라우저 및 운영체제에서만 가능하다. 그렇다면 안되는거나 다름없지!



출처: https://www.wowza.com/docs/how-to-play-video-using-the-html5-video-tag#before-you-start

 

 

 

그냥 video 태그로는 한계가 있지만 MSE (Media Source Extensions)를 이용해 미디어 소스를 확장하면 웹상에서 HTML5 태그들을 통해 동영상을 재생 시킬 수 있다고 한다.

직접 MSE를 이용해 미디어 소스를 확장하는 작업은 꽤 공부해야 할게 많아 보였다.

 

MSE라는 개념도 생소해서 이렇게 저렇게 찾아보았다.

-참고했던 사이트들

https://meetup.toast.com/posts/131

https://developers.google.com/web/fundamentals/media/mse/basics

https://developer.mozilla.org/en-US/docs/Web/API/Media_Source_Extensions_API

 

좀 더 쉽게 확장할 수 있는 player library들이 있는데 기업 상대로는 대부분 유료였다.

그 중에 오픈소스인 Google Shaka Player를 발견했다! 무료다 무료!

 

와우자 공식 사이트에 가이드도 있다!

 

출처: https://www.wowza.com/docs/how-to-use-google-shaka-player-with-wowza-streaming-engine-mpeg-dash

 

 

가이드를 잘 보니, wowza streaming engine에서 plaback Type에 MPEG-DASH에 체크를 해야 한다고 한다.

 

 

 

 

 

 

나에겐 계정 접근 권한이 없어서 요청한 상태다.

 

완료 회신이 오면. 테스트를 진행해 봐야겠다!

 

 

댓글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글 보관함